국세청 홈페이지 바로가기

국세청_금융소득 종합과세 해설.PDF

최근 월배당 ETF와 배당주 투자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키워드가 있습니다. 바로 금융소득 종합과세입니다. 단순히 이자나 배당을 받는 것이 아니라, 일정 기준을 넘으면 세금 부담이 크게 늘 수 있죠. 오늘은 초보 투자자도 이해하기 쉽게 금융소득 종합과세의 개념, 기준, 절세 전략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
금융소득 종합과세란 무엇일까? 

금융소득 종합과세는 연간 금융소득(이자 + 배당)이 2,000만 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(근로·사업·연금 등)과 합산해 누진세율을 적용하는 제도입니다.

  • 2,000만 원 이하 → 금융기관에서 이미 원천징수된 15.4% 세금(소득세 14% + 지방세 1.4%)으로 끝납니다. 
  • 2,000만 원 초과 → 초과분이 다른 소득과 합쳐져 최저 6.6%부터 최고 49.5%까지 세율이 적용됩니다. 

즉, 고소득자일수록 금융소득에도 더 높은 세율이 붙는 구조입니다. 

어떤 소득이 포함될까? (2천만 원 기준) 

포함되는 소득은 크게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입니다. 

  • 이자소득: 은행 예금·적금 이자, 채권 이자, CMA, 저축성 보험 차익, P2P 이자 등
  • 배당소득: 주식 배당금, 펀드·ETF 배당, 리츠(REITs) 배당 등 

     💡 주의할 점: 이 기준은 세전 금액입니다. 세금을 떼기 전 받은 총액으로 계산해야 합니다. 

포함되지 않는 소득도 있습니다. 

  • 비과세 금융상품 (조건 충족 시)
  • ISA 계좌 내 수익 (비과세·분리과세 혜택) 
  • 연금저축·IRP (과세이연 구조)
  • 주식·채권 매매차익 (양도소득으로 별도 과세) 

또한, 해외에서 받은 배당·이자소득은 원천징수가 안 되므로 금액과 관계없이 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 

세금 계산 방식

세금은 비교과세 방식으로 결정됩니다. 

  1. 금융회사에서 이미 원천징수된 14% 
  2.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계산한 세율 

      ➡ 두 가지 중 더 큰 금액이 최종 세금이 됩니다. 

예시) 근로소득 과세표준 5천만 원 직장인이 금융소득 2,500만 원 발생 

  • 2천만 원까지: 원천징수 15.4% = 308만 원 
  • 초과 500만 원: 24% 세율 = 120만 원 추가 납부 

       👉 총 세금은 428만 원 

금융소득 종합과세가 주는 추가 부담 

세금뿐 아니라 다른 영향도 있습니다. 

  • 건강보험료 증가: 연간 금융소득 1천만 원 초과 시 피부양자 자격 상실, 2천만 원 초과 시 직장인도 추가 보험료 부과 
  • 세무 신고 의무: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 

절세 전략 (세금 폭탄 피하는 방법) 

1. 소득 분산 관리 

  • 배우자·자녀 명의 분산 (증여세 면제 한도 내 활용) 
  • 만기 시점을 분리해 소득이 한 해에 몰리지 않도록 조정 

2. 세제혜택 상품 활용

  • ISA 계좌: 순이익 200만~400만 원 비과세, 초과분도 9.9% 저율 과세 
  • 연금저축/IRP: 세액공제 + 과세이연 효과 
  • 비과세종합저축: 만 65세 이상, 장애인, 국가유공자 등 가입 가능 (한도 5천만 원) 

3. 세후 수익률 고려:  단순 금리보다 세금 제외 후 실질 수익률로 판단 

4. 법인 통한 투자 (전문가 상담 필요): 개인이 아닌 법인 명의로 분산해 절세 가능성

최신 변화 (2025년 세제 개편 논의) 

최근 정부와 국회에서는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(현 35%)을 25%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【한국경제 2025.09.12】. 

  • 세율이 낮아지면 기업들이 배당을 더 늘릴 가능성이 크고, 개인 투자자의 세금 부담도 줄어듭니다. 
  • 최종 확정은 2025년 11월 국회 기재위에서 이뤄질 예정입니다. 

확인 방법 

국세청 홈택스 → ‘세금모의계산 > 종합소득세’ 메뉴에서 이자·배당 금액을 입력하면 스스로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
금융소득 종합과세는 더 이상 고액 자산가만의 문제가 아닙니다. 배당주, 월배당 ETF 등 대중화된 투자 환경에서 누구나 해당될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. 

👉 핵심은 세금까지 고려한 투자 전략입니다. 오늘 정리한 절세 팁을 참고해 똑똑하게 자산을 관리하시길 바랍니다.